아킬레스 건염이란?
우리 신체 부위 중에서 쉽게 몸을 들어 올릴 만큼 강한 힘을 발휘하는 관절은 발목 관절을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발목 관절을 이루는 구조물들 중에서도 하지의 전반적인 근력과 탄성을 연결해주고 증폭시킬 수 있는 구조물이 바로 아킬레스 건(Achilles tendon, 힘줄)입니다. 해부학적 위치는 종아리 근육의 하나인 비복근에서 이어져있으며 발뒤꿈치뼈인 종골(Calaneus)에 붙어 있게 됩니다. 인체가 지닌 힘줄 중 가장 크고 강한 건이지만 이와 동시에 체중과 그 이상의 부하가 걷고 달리는 동안 아킬레스 건에 가해질 수 있는데, 이때 적절한 근육과 건의 휴식이 주어지지 않고 과사용 또는 과반복이 될 경우에는 해당 부위에 염증 반응을 동반한 날카로운 통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아킬레스 건의 과사용성 근골격계 질환을 아킬레스 건염 또는 건병증이라고 말합니다. 특히 조깅이나 마라톤을 즐기는 러너들에게서 이 부상을 경험했거나 부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통계상 최대 34%까지 보고된다고 하니, 운동을 꾸준히 하시려는 분들에게는 예방을 위한 원인과 증상에 대해서 잘 알고 계셔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통증 양상 및 증상
통증이 나타나는 부위는 발 뒤꿈치의 힘줄이 부착되어 있는 지점에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며, 붓기와 염증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자고 일어나서 처음 땅을 디딜 때라던지, 운동을 시작하는 순간에 통증의 크기가 증가하고 움직임이나 운동이 지속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향성 때문에 별거 아닌양 참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오래 반복될 경우에는 통증의 빈도가 잦아지며 발생하는 위치 역시 부착 지점 부근에서 건의 중간지점까지 확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에 증상이 나타나신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진단을 받고 약물 또는 물리치료와 더불어 통증의 주요 원인을 바로잡을 수 있는 올바른 운동을 병행하여 만성 질환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주요 원인 1 - 발목 배측굴곡 움직임 범위의 감소 및 제한
발목의 배측굴곡(Dorsi-flexion)은 발목을 당기는 움직임을 말합니다. 정상적인 움직임 범위를 가지고 있다면 최소한 20도 정도의 당김을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경우를 “배측 굴곡의 움직임 저하되었다”라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배측 굴곡의 감소는 앞쪽 정강이 부근에 위치한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 근육이 억제되어 있거나 뒤쪽에 위치한 비복근(Gastrocnemius)과 가자미근(soleus)의 과한 단축 상태로 인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배측 굴곡의 저하는 걷거나 뛸 때, 발목이 자연스럽게 당겨졌다 쳐졌다 하는 움직임 기능 부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당기는 기능이 잘 안되기 시작하니 발목을 비틀어 움직이려고 하는 ‘과도한 회내(Over-pronation)'를 유발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회내량의 증가는 발바닥과 발목에 전해지는 충격량을 제대로 흡수할 수 없는 상태로 이끌며, 이러한 상태는 발목 주변 인대와 아킬레스 건으로 가해지는 미세외상(Micro-trauma)의 정도를 높여 염증을 만들어내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 2 - 발바닥 내재근(족저근)의 기능 약화
첫번째 주요 원인으로는 발바닥 내재근의 기능 약화입니다. 발바닥 내재근은 단어 그대로 발바닥에 위치하면서 발가락의 굽힘(Flexion, 굴곡) 움직임을 담당하면서 아치라고 하는 족궁(Arch)의 장력 유지에 많은 기여를 하는 안정화 근육입니다. 대표적인 근육으로는 엄지발가락의 굽힘을 담당하는 장모지굴근(Flexor hallucis longus)과 나머지 2~5번째 발가락의 굽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장지굴근(Flexor digitorum longus)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우리가 걷거나 뛸 때 발바닥에서는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효과적으로 위로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는 발 아치(족궁)가 적절한 구조와 기능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 기능을 하는 것이 바로 발바닥 내재근들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근육들의 움직임 능력이 떨어질 경우에는 발바닥 바로 위에 위치해있는 뼈인 주상골(Navicular)의 안정성을 떨어뜨려서 서서 지면을 디딜 때, 바닥 쪽으로 무너지고 떨어지는 구조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족궁이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발목 관절의 과도한 회내(Over-pronation)까지 유발하여, 가장 큰 연부 조직 중 하나인 아킬레스 건에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주요 원인 3 - 발목의 과도한 회내 작용
발목 관절의 회내 작용이 과도하게 증가할 경우에는 발목 위에 있는 뼈인 경골(Tibia)의 내회전량을 증가시킵니다. 이렇게 될 경우, 대퇴골(Femur)의 내회전량 역시 증가하게 됩니다. 우리는 이렇게 하지 본연의 기능이 잘 유지할 수 있게끔 올바르게 정렬된 상태로부터 벗어난 구조적 상태를 '하지 운동 손상 증후군(Lower Extremity Impairment Syndrome)'이라고 말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발목의 회내량 증가가 초기 원인이 될 수도, 또 중둔근과 대퇴근막장근의 근육 기능 부전으로 인해 고관절과 대퇴의 내회전량이 초기 원인이 되어 밑쪽으로 연쇄적인 변화를 이끌 수도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잘못된 구조적 변화는 곧 지면으로부터 하지, 특히 각각의 관절로 전해지는 충격량의 증가를 불러일으키게 됩니다. 특히 아킬레스 건과 관련하여 이야기해 보자면, 발의 회내는 아킬레스 건의 비틀림 현상까지 유발할 수 있어서 잘못된 부하(Load)가 계속해서 가해져 염증 반응을 가중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아킬레스 건염이 잘 낫지 않는 이유
아킬레스 건염으로 인한 통증을 느끼기 시작한다면 염증이 가라앉고 통증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까지 그 회복 속도가 비교적 오래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요인으로 혈류량을 많은 논문들에서 이야기합니다. 근육과 연부조직의 염증 회복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혈액입니다. 혈액의 여러 구성 요소들은 온몸의 조직 세포로 산소를 운반하며, 세균이나 염증으로부터 식균 작용을 통한 항생 작용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하지만 아킬레스 건은 근육이 아닌 대부분이 콜라겐 구조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주변에 모세혈관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게 분포합니다. 따라서 혈액이 침투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보니 상대적으로 근육에 발생하는 염증에 비해 회복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또한 앞서 말씀드린 원인들로 인해 발목의 구조적 형태가 변하여 아킬레스 건이 놓이는 위치와 정렬이 비틀리게 되면, 주변 혈관의 축소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도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아킬레스 건염과 관련하여 주요 원인들을 살펴봤습니다. 아킬레스 건염에 영향을 미치는 근육들과 간단한 강화 운동법에 대해서도 추후에 계속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근골격계 통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 통증, 헐거움을 느낀다면 슬와근을 주목하자. (2) | 2023.01.17 |
---|---|
스쿼트 시, 고관절 찝힘과 불편함의 원인은 무엇인가? (0) | 2023.01.04 |
라운드 숄더(굽은 어깨)의 원인 1, 소흉근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22.12.19 |
거북목 증후군, 그 원인을 바로 알자 (2) | 2022.12.16 |
만성 허리 통증 7, 흉요근막과 허리 통증의 관계 (0) | 2022.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