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운드 숄더란?
현대인의 생활 패턴 중 신체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생활 패턴을 말해보라고 한다면 스마트폰을 오래 보는 것과 컴퓨터 모니터를 오래 보고 있는 모습이 단연코 1, 2위를 다툴 것입니다. 이 두 모습의 공통점은 보기 위해서 앞쪽으로 상체가 마중 나가는 형상을 띠고 있다는 것입니다. 목이 앞으로 나가게 되고, 스마트 폰과 키보드를 하고 있는 팔과 어깨에 관련된 근골격계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젠 별로 놀랍지가 않습니다. 오늘은 다양한 어깨 통증의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심심찮게 자주 듣게 되는 ‘라운드 숄더(굽은 어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라운드 숄더란 아주 흔한 신체 증상 중 하나로써, 근육계와 신경계의 오랜 변화로 인해 어깨가 둥글게 굽고 말리는 증상을 이야기합니다. 근골격계적인 측면에서 이야기해보자면, 어깨의 견갑골(Scapular)이 앞쪽으로 당겨지는 '전인(Protraction)'과 함께 승모근의 단축으로 인해 '올림(Elevation)' 움직임이 과해지게 됩니다. 이 상태와 함께 팔 뼈를 지칭하는 상완골 안쪽으로 돌아가 있는 '내회전(Internal rotation)'의 정도가 과해지게 되면서 굳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라운드 숄더는 대표적인 어깨 통증 질환인 어깨 충돌 증후군에서부터 계속 방치하고 심한 활동을 동반할 경우 어깨 회전근개 파열이나 관절와순 파열(SLAP)과 같은 심각한 질환을 초래할 수 있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 1 - 소흉근의 단축과 경직
라운드 숄더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소흉근(Pectoralis minor)의 과경직 상태를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소흉근은 대흉근(Pectoralis major, 가슴근육)의 안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갈비뼈 3, 4, 5번으로부터 시작하여 어깨뼈의 위쪽 부분인 오훼돌기(Coracoid process)로 이어져있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근육입니다. 소흉근이 수축될 경우에 일어나는 주요 움직임으로는 견갑골을 앞쪽으로 잡아당기는 전인(Protraction)과 견갑골을 안쪽으로 회전시켜주는 하방 회전(Downward rotation)의 기능을 담당하게 됩니다. 라운드 숄더와 관련하여, 견갑골의 뒤쪽에 위치한 근육들에 비해 소흉근이 과하게 경직될 경우에는 어깨가 앞으로 나가는 움직임이 강해지는 것과 동시에 견갑골 안쪽 가장 하단 부위인 '견갑골 내측연(Inferior border)'이 뒤쪽으로 들리는 형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내측연이 들리는 형태는 어깨를 비롯한 등 부위가 둥글게 말리는 듯한 모양을 유발하게 되며, 이러한 어깨 관절 및 견갑골 기능 부전의 형태인 '익상 견갑(Scapular winging)'을 만들어내게 됩니다. 익상 견갑은 전반적으로 견갑골의 안정화 능력을 떨어뜨려 어깨의 관절 위치를 유지하려는 근신경계적 기능을 저하시키게 됩니다. 해당 기전으로 인해 생기는 어깨와 등이 말리는 형태, 견갑이 뒤로 뜬 상태는 어깨가 가진 최적의 움직임을 일으키는데 방해를 하게 되고, 어떻게든 움직이고자 할 때 발생하는 과한 스트레스와 마찰이 어깨 주변 근육이나 연부조직에 상처를 입혀 더 심각한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게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라운드 숄더가 의심된다면 단축된 소흉근을 풀어주려는 이완 운동을 통해 하나씩 개선해나가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간단한 자가 체크 방법
라운드 숄더인지 아닌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간단한 몇 가지 방법을 적용해볼 수 있습니다. 1) 첫 번째 방법은 거울 앞에 옆으로 돌아 반듯하게 섰을 때, 눈으로 봐도 어깨가 앞쪽으로 돌아가고 굽어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2) 두 번째 방법은 팔에 힘을 빼고 서있는 상태에서 손바닥이 허벅지를 바라보거나 약간 앞쪽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뒤쪽을 바라보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면 라운드 숄더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세 번째 방법은 벽에 대고 똑바로 섰을 때, 자연스럽게 벽에 양 어깨가 닿지 않는 것 같고 힘을 줘야 닿는다면 라운드 숄더일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네 번째 방법은 양손을 깍지 낀 상태로 뒤통수를 잡고 앞쪽을 바라볼 때 양 팔꿈치가 어깨 라인보다 앞으로 가있거나 굽어있을 경우에는 라운드 숄더를 유발할 수 있는 근육의 상태를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만약 어깨 부위의 통증을 가지고 있다면 네 가지 방법을 통해 라운드 숄더 상태를 자가 체크해보시고 해당될 경우에는 이를 개선하기 위한 운동을 병행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라운드 숄더 개선 운동 방법 역시 추후 포스팅에서 알기 쉽게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근골격계 통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쿼트 시, 고관절 찝힘과 불편함의 원인은 무엇인가? (0) | 2023.01.04 |
---|---|
아킬레스 건염, 통증의 원인은 무엇인가? (2) | 2022.12.26 |
거북목 증후군, 그 원인을 바로 알자 (2) | 2022.12.16 |
만성 허리 통증 7, 흉요근막과 허리 통증의 관계 (0) | 2022.12.12 |
손목 터널 증후군 2, 통증을 줄여주는 신경 스트레칭과 운동 방법 (0) | 2022.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