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통증 / / 2022. 12. 12. 01:03

만성 허리 통증 7, 흉요근막과 허리 통증의 관계

흉요근막이란?

흉요근막(Thoracolumbar fascia)은 흉추와 요추 그리고 골반을 넘어 장골까지 걸쳐있으며, 위로는 광배근 밑으로는 대둔근 사이에서 다이아몬드 모양을 가지고 걸쳐있는 근막입니다. 흉요근막은 힘을 사선 방향으로 전달하는데, 그렇기 때문에 후방 운동 사슬을 통해 일어나는 상지와 하지의 움직임을 기능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요추와 고관절의 안정화시키는것뿐만아니라 보다 더 탄성적인 움직임이 나오는데 기여를 하는 조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탄성이 있는 근막 구조를 가진 흉요근막은 다량의 얇은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얇은 층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근막 구조의 성질인 점성과 탄성의 합성어인 점탄성(Viscoelasticity)을 가지고 장력을 받을 때 미끌림을 통해 기능하는 조직입니다.

흉요근막의 위치

만성 허리 통증과의 관계

흉요근막은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근막의 구조적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경직으로 인해 움직임 능력이 떨어지거나 반대로 너무 많이 움직이게 되면 과사용을 일으키게 되면 적절량의 수분이 흉요근막 내에 부족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근막층이 힘을 받아 미끌리며 움직임에 도움을 주는 기능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 상태가 오랜 시간 지속될 경우에는 탄성보다 점성이 높아지게 되고 조직의 유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많은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만성 허리 통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흉요근막은 구조상 다이아몬드 형태가 위, 아래 그리고 사선 방향으로 다양한 장력으로부터 늘어나고, 견뎌내고, 분산시켜야 하는데 허리 주변 근육의 불기능이나 관절 자체의 염증 손상을 입었던 경우에는 흉요근막의 유착과 경직 더 심하고 빈번하기 때문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지 않고 큰 근육의 운동만을 수행한다면 오히려 흉요근막이 더 뻣뻣해지면서 심한 허리 통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통증과 관련된 흉요근막의 특징

흉요근막에는 신경 세포들의 수가 근육에 비해서 최소 6배가량 많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경 세포의 활성화 정도가 근육보다 더 많아 감수성이 예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고유수용성감각(Proprioceptor)이 근육에 비해 훨씬 더 많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고유수용성감각은 신체의 관절이 어디에 위치해있는지 알 수 있는 감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팔을 90도 정도 벌려보세요라는 명령에 별다른 노력 없이 수행하는 것과 같은 상황을 이야기합니다. 돌아와서 흉요근막 내 더 많이 존재한다는 것은 만약 경직과 움직임 둔화가 발생한다면 많은 고유수용성감각들이 전달해주던 관절이 놓여있는 위치와 상태 그리고 근육이 어떤 상태이며 어느 정도의 압력을 받고 있는지와 같은 움직임과 관련한 실시간 정보들을 예민하고 세밀하게 뇌 또는 척수로 보고하는 운동 조절 시스템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허리 통증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은 해당 기전을 통한 움직임 조절 능력의 잘못된 변화는 만성 허리 통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스트레스가 미치는 영향

허리 통증과 관련하여 더 나아가서 많은 연구들은 교감신경이 흉요근막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교감신경은 흥분하거나 위급한 상황에서 신체가 빠르고 강하게 적응하도록 도와 급박한 외부 환경에 대응하여 인체 내 항상성 조절에 기여하는 자율신경계의 한 축을 말하는데, 흉요근막의 직접적인 경직이나 구조적인 유착이 일어나지 않더라도 심한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자주 빈번하게 받을 경우에는 교감 신경 예민도가 높아지면서 흉요근막을 전보다 더 쉽게 뻣뻣한 상태로 만들고 이점 또한 통증을 야기할 수 있다고 많은 연구자들은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또한 통증을 느끼고 전달하는 통각수용체(nociceptor)가 많은 압박을 받게 되고,통증의 역치 낮춰 잦은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통증 개선을 위한 팁

흉요근막과허리 통증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보고 있자면,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운동만 하거나 또는 치료만 받거나 하는 한 가지의 방법으로만 국한하여 접근할 것이 아니라 명상이나 호흡을 통한 정신적인 측면이 함께결합될때 흉요근막의 스트레스를 높이는 교감신경을 낮추고 부교감신경이 높이면서 뻣뻣해진 흉요근막의 이완을 효율적으로 일으킬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에 주어져야 할 운동은 강한 근력 운동만 하는 것이 아니라 허리와 고관절을 사용하는 움직임이 다양한 방면으로 그리고 다양한 각도와 함께 능동적으로 잘 발휘하고 있는지를 체크해보는 것도 허리 통증과 관련하여 중요한 운동적 접근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흉요근막은 다양한 힘과 구조물들이 한 곳에 모이는터미널 같은 성격을 띠고 있으면서 하나의 구조로서는 특별한 큰 힘을 발휘하는 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근골격계적으로 가장 저평가된 구조물이면서 가장 중요한 구조물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오늘부터라도 허리 통증으로부터 벗어나고 싶다면 무작정 근력 운동, 무작정 물리치료가아닌 흉요근막의 기능을 함께 살려보려는 노력을 해보신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