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 / 2022. 12. 9. 00:37

근육 긴장성 두통, 원인과 증상 그리고 통증 완화 방법

근육 긴장성 두통이란?

누구나 살면서 머리가 지끈지끈하고 쿡쿡 쑤시는 두통을 경험합니다. 두통으로 인한 통증의 지점이 아무래도 뇌랑 가까운 머리에서 느껴지다 보니 몸 전반적인 컨디션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두통은 뇌에 크게 문제가 없이 발생하는 1차성 두통과 여러 가지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2차성 두통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1차성 두통으로는 편두통과 근육 긴장형 두통 등이 있으며, 2차성 두통으로는 관자 동맥의 염증으로 인한 두통, 뇌압 상승으로 인한 두통이 있으며 2차성 두통은 생명과 직결되는 심각한 상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흔한 1차성 두통인 근육 긴장형 두통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근육 긴장형 두통이란 대부분의 사람들이 많은 경험을 해봤을 정도로 가장 흔한 두통의 종류이며 과한 긴장 또는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해 목, 머리, 어깨 주변 근육의 수축 신호가 강해지며 뻣뻣해지는데 이때 근육 통증과 함께 발생하는 두통을 이야기합니다. 단순히 스트레스 때문만이 아니라 직업 특성상 목을 오랫동안 숙인 상태로 일을 하거나 책 또는 컴퓨터를 오래 봐야 하는 사람들은 특히 목 관절과 관련된 근육들의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근육 긴장성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성격적인 측면에서도 쉽게 긴장하거나 경쟁적인 상황을 힘들어하는 사람에게도 이러한 두통의 양상이 더욱더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근육 긴장성 두통의 증상과 원인

근육 긴장성 두통의 증상은 대체로 머리 주위에 머리띠를 꽉 조이는 것 같은 압박감이나 짓누르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통증의 지점은 대부분 한쪽이 아닌 좌우 양측에서 모두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짧게는 몇 시간, 길게는 며칠까지도 증상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근육 긴장성 두통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히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1) 목 주변의 근육들의 지속적이고 과한 수축 작용으로 인한 근육의 긴장 상태, 근육의 과경직과 2) 정상적인 수준보다 낮은 통증 역치가 그 원인으로 크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컴퓨터 모니터를 오래 보거나 책상에 앉아서 책을 오래 보는 경우 또는 이와 같이 목을 숙이거나 앞으로 내민 상태를 오래 지속하게 되는 경우에는 목 관절의 대표적인 굴곡근(Neck flexor)인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과 폄근(Neck extensor)인 상부 승모근(Upper trapezius) 그리고 폄 기능과 안정화 기능을 해주는 후두하근(Suboccipitals)의 근육이 늘어나거나 짧아진 상태로 오랜 시간 동안 머물게 되고 근육이 적절한 힘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유지되어야 할 근육의 상태 즉, 휴식 길이(Resting length)가 바뀌게 되며 원래 가지고 있던 근육의 길이와 장력을(Length-Tension)을 잃어버려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리고 통증 역치가 낮아지는 이유로는 주변 근육(ex/ 후두하근)의 경직이 목 주변 근육을 지나가는 신경을 더욱더 압박하게 되고, 목 주변 근육과 힘줄의 과한 경직과 수축 또한 유발하게 됩니다. 그렇게 될 경우에는 근육 섬유 내 산소 공급이 원활히 일어날 수 없게 되는데, 이때 신경 흥분도(neural excitability)의 변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기전을 통해 통증을 느끼는 역치가 낮아지면서 목과 어깨 주변 근육의 긴장을 더욱더 촉진하고 근육 긴장성 두통의 빈도를 높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두통 완화를 위한 쉬운 근육 마사지 방법

근골격계적 측면으로 봤을 때 1) 후두하근, 2) 상부 승모근, 3) 흉쇄유돌근 순서로 근육을 이완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특히 후두하근의 경우 목 관절의 첫 번째 뼈인 경추 1번에서 시작하여 목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반응하고 기능하는 근육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매 순간 안정화와 움직임을 하려고 많은 신경 신호가 전달되는 근육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후두하근에는 인체의 감각 수용기가 다른 근육과 비교했을 때 많게는 18배가량 더 분포하고 있다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상부 승모근과 흉쇄유돌근의 경우도 다음 만성 목 통증을 다루는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두통 완화를 위한 마사지 방법은 1) 첫 번째, 손을 목 뒤에 대고 구부렸을 때 굽힘이 시작되는 지점에 폼롤러를 놓고 좌우로 돌려줍니다. 2) 두 번째 방법은 세 손가락을 목 뒤에 가로로 놓은 후, 목 가장 밑부분부터 뒤통수까지 천천히 약간의 압력을 가하며 쓸어줍니다. 두 가지 방법을 통해 목 주변 근육과 많은 신경들 그리고 감각을 느끼는 수용기들을 이완시켜 통증 수용체의 예민도를 낮춰 두통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후두하근을 보여주는 그림
상부승모근을 보여주는 그림
흉쇄유돌근을 보여주는 그림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